시사칼럼
제목 : 빚을 두려워하는 삶
안녕하세요. 오늘은 빚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싶습니다. 최근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의 지칠 줄 모르던 소비가 크게 떨어지고 저축이 늘면서 수입이 감소하였다는 사실을 보도하였습니다. 미국에 수출을 많이 하던 국가로 보면 염려스러울 수 있지만, 이 신문은 오히려 이것 통해 “부채에 기반한 미국인들의 소비에 의존해온 세계경제의 불균형이 회복될 수 있다”고 긍정적으로 해석을 내렸습니다.
사실 미국은 만성적인 무역적자국으로 수십년간 부채경제가 계속되었고, 국가 뿐 아니라, 국민들 역시 부채를 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가운데 거품경제를 키우는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90년대초 미국에서 오래 살아온 분과 만난 적이 있습니다. 미국을 화제로 대화하던 중 그분은 나에게 자신의 대여섯장의 신용카드가 꽂혀있는 지갑을 보여주면서 이것이 미국의 실상이라고 말했습니다. 많은 미국인들이 이렇게 여러장의 신용카드를 갖고 과도하게 소비하면서 카드빚을 지고 있고, 그러다 자칫 신용불량자가 되는 일들이 종종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당시 신용카드는 하나면 충분하다고 생각하던 우리들에게는 참 이해되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서 이러한 미국의 소비문화는 우리나라를 물들이고 말았습니다. 신용카드사들이 우후죽순처럼 일어나고 신용카드를 여러 개 갖는 것이 유행처럼 번졌으며, 카드빚도 늘어나면서 급기야는 2003년 신용카드사태가 일어났고, 경제활동인구 6명중 1명이 신용불량자로 몰리는 신용불량대국이 되고 말았습니다. 당시 LA 타임스에서는 평범한 한국 근로자들이 신용카드를 최다 25장까지 발급을 받아 이를 수십만 달러의 현금 인출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였다며 무분별한 카드 발급과 남용 실태를 꼬집기도 했습니다.
바로 그해 초까지 나는 독일에서 살면서 반대의 경험을 해야 했습니다. 독일은 우리보다 경제규모도 큰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신용카드가 보편화되지 못했습니다. 버젓이 직장이 있음에도 신용카드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들도 많았고, 더 놀라운 것은 도심의 수많은 대형마트나 상가에서 신용카드를 받지 않았고 대신 직불카드만 쓸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뭔가 좀 시대에 뒤떨어진 불편한 나라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보면 빚을 내며 소비하는 것을 꺼려하는 건전한 풍토가 서민들 속에 뿌리내려 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번 세기적인 불경기에 예외인 나라는 없고 독일 역시 수출에 많이 의존하기에 커다란 타격을 받고 마이너스 성장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런 가운데 경제 전문가들이 미국이나 영국에 비해서 독일이 경제위기에 유리하다고 보는 것은 모기지 연체비율과 가게부채가 별로 높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가계경제가 다른 나라에 비해서 탄탄하다는 것입니다.
반면 신용카드대란 이후에도 우리의 소비성향은 크게 달라지지 못해 매년 GDP 대비 가계부채율이 10%이상 늘어나 OECD 평균을 훨씬 상회하면서 현재 가구당 4천만원의 부채를 지고 있습니다. 이런 부실한 가계경제는 부실한 국가 경제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성경은 피차 사랑의 빚 외는 아무 빚도 지지 말라고 명하고 있습니다. 이 말씀을 따라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누구보다도 먼저 빚지는 것을 두려워하면서, 하나님이 허락하신 삶의 분수 안에서 자족하며 근신하여 살아감으로 건전한 사회를 만드는 좋은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
애청자 여러분, 다음 이 시간까지 평안하십시오.